즐겨찾기 추가 2025.04.29(화) 19:48
탑뉴스 최신뉴스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연예 전국뉴스 문화 세계 뉴스
아까시나무 꽃 피면 산불 끝난다는 말은 옛말, 5월도 산불 조심 !
- 국립산림과학원, 우리나라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기상인자 구명 -
CNB 국회방송 산림전문 서경수 기자 ecnb@daum.net
2021년 05월 06일(목) 11:44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우리나라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기상인자를 밝혀내고 올해 5월 산불 발생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평년보다 산불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과 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난 40년간(1981∼2020) 봄철 산불 위험지수 시계열 변화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기상인자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5월 산불 발생은 엘니뇨·라니냐의 영향을 받은 서태평양 지역 대류 활동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 기후 특성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5월 산불 발생위험과 상관성이 높은 기후인자는 3, 4월의 서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 동서 바람, 상대습도이며, 이러한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평년보다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난 3월 동아시아 지역은 평년보다 다소 습윤한 상태였으나, 4월 중순 이후 라니냐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건조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더불어 서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며,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도 평년보다 높아졌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우리나라 주변으로는 강한 동서 바람이 불고 습도가 낮게 나타났다.

최근 5월에도 산불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아카시아 꽃이 피면 산불이 나지 않는다”라는 속설이 무색해지고 있다.

산림청 산불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1년 중 5월에 발생한 산불 비율이 1990년대 6%에서 2000년대 7%로, 2010년대에는 10%로 높아졌다.

특히, 2019년은 전체 산불 중 15%가 5월에 발생하였다. 또한, 3∼4월에만 발생했던 100ha 이상의 대형산불이 2017년 2건, 2020년 1건이 발생하는 등 5월에도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권춘근 박사는 “기후·기상 자료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산불 발생위험 예측’으로 보다 먼 기간의 산불 위험 예보와 위험변화의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으로 산불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겠다.”라고 전했다.
CNB 국회방송 산림전문 서경수 기자 ecnb@daum.net
독자 의견 (0개)
이 름 비밀번호
제 목
내 용
회사소개조직도회원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고충처리인광고문의기사제보
CNB국회방송(www.ecnb.co.kr)등록번호 : 서울 아00929등록일 : 2012년 10월 22일 발행인,편집인 : 윤호철청소년보호책임자 : 윤호철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번지 극동VIP빌딩 705호대표전화 : 02)535-2077(代) | Fax.02-535-2066, 070-4229-3008
[ 국회방송]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무단 사용, 복사, 배포 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