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재 국회의원, 관계부처에 '포항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촉구 - 미국 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와 이차전지산업 수요 둔화로 지역 경제 침체 우려- 산업부, 기재부, 행안부 등 관계 기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촉구 - 김정재 의원 “철강과 이차전지산업 대내외적으로 어려워...특단의 대책 필요” 동부취재본부 / 김건우 본부장 oprus21@naver.com |
2025년 02월 17일(월) 17:26 |
|
김정재 의원(국민의힘·포항시북구)은 17일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한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에 공문을 보내 포항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포항의 주력 산업인 철강업의 경우 국내 건설경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 철강의 공세는 물론 미국 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 결정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이차전지산업 역시 위기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해 기업의 투자 계획이 연기되고 있고, 생산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주요 이차전지 기업들은 공장 가동률을 낮추고 신규 투자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김정재 의원은 산업부를 비롯한 관계 기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촉구했다. 현행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정부는 산업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의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김정재 의원은 “지역 주력 산업인 철강업과 이차전지산업이 대내외적인 여건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만큼 조속한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정부도 현재의 위기상황을 직시하고 있는 만큼 국회 차원의 입법, 예산 지원에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정재 의원은 지난 13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철강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갖고 특단의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촉구하며, 철강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도 적극 검토해줄 것을 당부했다.
포항의 주력 산업인 철강업의 경우 국내 건설경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 철강의 공세는 물론 미국 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 결정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이차전지산업 역시 위기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해 기업의 투자 계획이 연기되고 있고, 생산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주요 이차전지 기업들은 공장 가동률을 낮추고 신규 투자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김정재 의원은 산업부를 비롯한 관계 기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촉구했다. 현행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정부는 산업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의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김정재 의원은 “지역 주력 산업인 철강업과 이차전지산업이 대내외적인 여건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만큼 조속한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정부도 현재의 위기상황을 직시하고 있는 만큼 국회 차원의 입법, 예산 지원에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정재 의원은 지난 13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철강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갖고 특단의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촉구하며, 철강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도 적극 검토해줄 것을 당부했다.
동부취재본부 / 김건우 본부장 oprus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