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7.03(목) 14:11
탑뉴스 최신뉴스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연예 전국뉴스 문화 세계 뉴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타결 관련 구미지역 수출업체 의견 조사
- RCEP 타결…일본과의 첫 FTA, 15개국 간 단일원산지 발급기준 적용
┗ 15개국 간 메가FTA로 역내산 원재료 인정범위 넓어져
┗ 관세 철폐수준 제고로 수출경쟁력 높아져
- 구미 수출업체 57개중 46.4% ‘모르겠다’, 39.3% ‘긍정적’, 14.3% ‘부정 적’이라고 밝혀
┗ 긍정적 이유 : ‘추가적인 관세철폐 수준 제고’ 가장 많이 꼽아
- 구미 수출업체 절반가까이 모르겠다고 밝혀…적극적 홍보, 설명회 필요
CNB 국회방송 중부취재본부장 이명용 ecnb@daum.net
2021년 01월 25일(월) 13:14
구미상공회의소(회장:조정문)가 지난 11월 25일부터 12월 11일까지 지역 내 57개 수출업체를 대상으로「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타결 관련 구미지역 수출업체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개념 : 한·중·일, 아세안 10개국, 호주, 뉴질랜드 총 15개국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의 메가FTA

* RCEP 경제규모 : GDP 약 26.3조 달러(전세계 GDP의 30%), 무역 규모 5.4조 달러 (전세계 교역의 29%)

* 타결시기 : 2020.11.15

* 의의 : 일본과의 최초 FTA로 범아시아 지역경제통합체를 결성했다는 점

이번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은 일본과의 첫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우리나라는 이제 세계 경제대국 1위부터 5위(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 국가와 모두 FTA를 체결했다는 점과 더불어 15개국 간 단일원산지 발급 기준을 적용하는 등 구미 수출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RCEP을 통해 ASEAN 국가와는 기체결 FTA를 개선하였고, 일본과는 83%(품목수 기준) 수준으로 상호 개방하였다.

특히, 이제까지는 한-중, 한-미 등 단일 지역과 FTA체결을 통해 원재료 인정 범위가 매우 협소했으나 이번 RCEP 타결로 15개국 어디의 원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누적기준으로 역내 원산지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RCEP 타결로 그동안 고관세였던 일부 품목(승용차 : 최대 30%, 합성수지 : 최대7%, 섬유기계 : 10%)의 수출경쟁력도 제고될 전망이며, 원산지 발급 방법 역시 기관발급과 자율발급을 모두 혼용할 수 있게 되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이러한 RCEP 최종 타결과 관련해 구미 수출업체 57개사의 46.4%는 ‘모르겠다’고 밝혔으며, 39.3%는 ‘긍정적’, 14.3%는 ‘부정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우리나라가 최초로 서명한 메가 FTA임에도 불구하고 RCEP에 대해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업체가 절반가까이 나와 아직까지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로는 76.9%가 ‘추가적인 관세철폐 수준 제고’를 꼽았으며, 이어 단일 원산지 규정 도입(11.5%), 일본과의 첫 FTA 체결(7.7%), 전자상거래 챕터 도입(3.8%) 순으로 나타났다.

구미상공회의소 김달호 부국장은 이제까지 FTA가 양자간 협정 구도였다면 앞으로는 다자간의 메가 FTA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며 아세안을 포함한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까지 경제동반자협정을 맺을 수 있어 구미공단에 큰 호재라며, 향후 업체에서 좀 더 RCEP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설명회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CNB 국회방송 중부취재본부장 이명용 ecnb@daum.net
독자 의견 (0개)
이 름 비밀번호
제 목
내 용
회사소개조직도회원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고충처리인광고문의기사제보
CNB국회방송(www.ecnb.co.kr)등록번호 : 서울 아00929등록일 : 2012년 10월 22일 발행인,편집인 : 윤호철청소년보호책임자 : 윤호철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번지 극동VIP빌딩 705호대표전화 : 02)535-2077(代) | Fax.02-535-2066, 070-4229-3008
[ 국회방송]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무단 사용, 복사, 배포 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